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469

"2월 접수신청 월 101,930원" LH국민임대아파트 확인하세요 가파른 주택가격 상승으로 많은 분들이 주거에 관한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오늘은 인천에 2월에 신청 가능한 LH 국민임대아파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더보기 임대조건 51A 보증금 18,511,000원 / 월 241,930원 51B 보증금 18,586,000원 / 월 243,030원 22평 합계 계약금 잔금 월 임대료 51A 18,511,000 925,550 17,585,450 241,930 51B 18,586,000 929,300 17,656,700 243,030 보증금 최대 전환시 조건 51A 보증금 28,000,000원 / 월 101,930원 51B 보증금 28,000,000원 / 월 103,030원 해당 단지 주소 인천시 도림 1단지 인천광역시 남동구 논고개로 334번길 17(도림동 629-1).. 2022. 2. 9.
교통위반 과태료 50% 깍아준다고..? (+해당대상) 운전하는 사람들은 누구나 한번쯤은 교통위반으로 과태료를 내신적이 있으실텐데, 과태료를 50% 감경해주는 대상이 있다는거 알고 계셨나요? 더보기 저소득층의 경우 과태료 통시저를 받았을때 50%를 감경할 수 있는 제도가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이 모르기 때문에 활용을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사진과 같이 과태료 통지서에 보면 4번 항목에 기초생활수급자 등에 대한 과태료 감경(50%)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뒷면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라고 나와 있습니다. 신청방법 관할 경찰서에 전화한 뒤 해당 증명서를 보내달라는 요청을 받으면 본인이 기초생활수급자나 한부모가족 등 포함되는 대상에 대한 증명서를 정부24시를 통해 증명서를 발급받아 보내시면 됩니다. 증명서 발급받기 과태료 50% 경감 조건 - 체납 과태.. 2022. 2. 9.
"앞으로 이렇게 다니면 벌금 50만원까지 문다" (+반려견 외출 규정) 앞으로 반려견 산책시 이 사실을 모른다면 최대 50만원의 벌금을 내야 합니다. 반려견에게 물리거나 예상치 못한 사고로 한번씩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정부는 반려경 외출 규정을 정했습니다. 더보기 반려견 동반 외출시에 목줄이나 가슴줄을 해야하며 길이는 2미터 이내로 제한됩니다. 이를 위반할 경우 과태료는 아래와 같이 부과됩니다. 1차 위반 : 과태료 20만원 2차 위반 : 과태료 30만원 3차 위반 : 과태료 50만원 주의사항 - 3개월 미만인 반려견을 직접 안아서 외출시엔 제외됨 - 2미터 길이 제한은 대형견과 소형견 구분없이 모든 견종에 해당됨 - 단, 2미터 이상의 줄을 사용할 때 반려견과 사람 간의 연결된 줄의 길이를 2미터 이내로 유지할 경우엔 안전조치 규정 준수로 인정됨 추가로 공용공.. 2022. 2. 8.
"물벼락, 모르면 과태료 내야 됩니다" 보상은 어떻게? 우리가 운전할때 여러가지 과태료와 범칙금 대상이 되는 행동들이 있는데 오늘은 대부분 사람들이 잘 모르지만 과태료에 해당되는 행동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더보기 자동차 물벼락 도로교통법 49조 1항에 따르면 모든 자동차의 운전자는 물이 고인 곳을 운행할 때 고인 물을 튀게 하여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주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고 나와있습니다. 자동차가 지나가는 사람에게 물벼락을 튀겼을 때 20만원 이하의 과태료 대상이 되며, 피해자가 신고할 경우 추가로 세탁비까지 책임져야 합니다. 실제로는 승용차와 승합차는 과태료 2만원, 오토바이와 자전거는 과태료 1만원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물벼락을 맞은 사람은 신고할 때 아래와 같이 두가지 방법을 통해 신고할 수 있습니다. 첫번째 신고 방법 1. 차량 번호판 확인하기.. 2022. 2. 6.
의원에도 종류가 있다? "모르면 손해볼수도" 혹시 의원에도 종류가 있다는 것을 알고 계시나요? 보통 동네에는 의원들이 많은데 간판에 따라 의원의 종류가 다릅니다. 더보기 의원은 일반의와 전문의로 나눠지게 되는데 두 가지 과정을 살펴보겠습니다. 일반의 과정 의대 졸업 - 의사 국가고시 합격 - 의사 면허 취득 - 일반의 전문의 과정 일반의 과정에서 추가로 1년간 인턴 - 전공과 선택 - 3~4년간 레지던트 - 전문의 시험 합격 - 전문의 이렇게 일반의가 차린 의원과 전문의가 차린 의원을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은 바로 의원 이름입니다. 예를 들어 빠른 의원 이라고 이름을 지을 경우 일반의 : 빠른 의원 피부과 전문의 : 피부과 빠른 의원 이렇게 일반의는 의원 뒤에 진료 과목을 넣어야 하고 전문의 경우 의원 앞에 진료과목을 넣어서 간판을 세울 수 있게 됩.. 2022. 2.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