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469

"카드 쓰시는 분들은 꼭 현금으로 받아가세요" 모르면 소멸됩니다. 이제 대부분의 사람들이 현금 대신 카드를 많이 쓰고 있습니다. 카드를 쓰시는 분들에게 포인트가 쌓이고 있다는거 아시나요? 대부분 모르시거나 적립되도 얼마나 적립되어 있는지 모르는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하네요. 더보기 이렇게 자신의 포인트를 몰라서 찾지 못해 없어지는 금액이 1년에 무려 3천억원이나 된다고 하네요. 주변 분들에게도 꼭 알려주셔서 작은 돈이라도 챙겨가시기 바랍니다. 포인트가 있을 경우에 현금으로 변경하여 받을 수 있으니 꼭 조회해서 찾아가시기 바랍니다. 우선 카드포인트 통합조회시스템이란 곳에서 확인하실 수 있고 별도의 회원가입없이 본인인증만 거치면 쉽게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카드 포인트 조회하기 * 해당 사이트는 여신금융협회에서 운영하기 때문에 불법적인 사이트가 아니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2022. 1. 28.
이 증상이 보인다면 오미크론 일지도 모릅니다 (+주요증상 3가지) 현재 오미크론 확진자로 인해 일 확진자 1만명이 훌쩍 넘어간 상황입니다. 영국 코로나19 증상 연구단체 조이(ZOE)에서 발표한 내용으로 오미크론 증상에 대한 3가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피부발진 증상 손이나 발, 팔꿈치쪽에 집중적으로 땀띠처럼 울퉁불퉁한 모양이 생기며, 가려움이 발생한다고 합니다. 별다른 이유없이 이러한 현상이 나타날 경우엔 혹시 모르니 코로나 검사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2. 두드러기 증상 벌집 모양의 돌기가 튀어나온 형태로 앞서 말한 피부발진 증상보다 더 빠르게 나타났다가 빨리 사라지기도 합니다. 3. 작은 돌기 마치 동상에 걸렸을때와 흡사하게 작은 돌기가 나타나고 붉은색이나 자주색의 모양으로 살짝 따가운듯한 증상이 나타납니다. 피부증상 외에 또 다른 증상으론 바로 식은땀입니.. 2022. 1. 28.
운전면허증, 이제 폰으로 들어간다 (+발급방법) 이제부터 모바일에 운전면허증을 넣어서 다닐 수 있게 되었습니다. 많은 것들이 디지털화 되어가는 중에 주민등록증과 운전면허증은 계속해서 플라스틱 형식으로 실물로만 인증이 가능했습니다. 하지만 이제 모바일로도 현재 플라스틱으로 된 운전면허증과 법적으로 같은 효력을 가질 수 있게 개선됩니다. 현재 시범지역 몇군데를 시작으로 7월에는 전국으로 확대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더보기 모바일 운전면허증 예시 앞면(왼쪽)에는 이름과 생년월일 뒷면(오른쪽)에는 상세한 내용이 나오게 됩니다. 이제 면허증 제시할때 이 화면을 보여주면 신원확인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이 방법으로 은행이나 술집등에서 신원이 확인 가능하니 지갑을 깜빡 두고 와도 스마트폰을 통해 확인이 가능하게 됩니다. 모바일 면허증 발급방법 IC 면허증으로 발급받기.. 2022. 1. 28.
"대박이다 진짜.." 300저금하면 → 1,200만원으로 돌려주는 제도(+신청대상) 2년동안 300만원을 적금하여 만기시 1,200만원으로 돌려받을 수 있는 제도가 있습니다. 자신이 저금한 돈의 무려 4배나 받을 수 있는 이 제도는 바로 청년 내일채움공제 입니다. 해당 제도는 2016년부터 시행되었고 지금까지 가입을 진행한 누적 인원이 무려 50만명이 넘었다고 합니다. 더보기 지원내용 2년동안 총 300만원을 적금할 경우 총 1,200만원의 금액을 받을 수 있습니다. 청년 : 300만원 기업 : 300만원 (기업의 규모에 따라 다름) 정부 : 600만원 합계 :1,200만원 신청방법 및 절차 인터넷 참여신청 → 자격요건 심사 및 선발 → 청약신청 → 주기별 지원금 신청 → 청년·기업 지원금 적립 및 지급 → 공제부금 관리 → 만기공제금 신청 및 수령 절차 및 신청하기 워크넷-청년공제 홈.. 2022. 1. 27.
"20만원 지원금" 신청 연장 및 확대 (+에너지바우처) 많은 분들이 몰라서 못 받고 있는 동절기 에너지바우처가 신청 연장 및 확대가 되었습니다. 에너지바우처란? 에너지 취약계층이 전기나 도시가스, 지역난방, 등유, LPG, 연탄등을 구입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지원금액 구분 1인 세대 2인 세대 3인 세대 4인 이상 세대 변경 전 96,500원 136,500원 170,500원 191,000원 추가지원 7,000원 10,000원 14,000원 18,500원 변경 후 지원금액 103,500원 146,500원 184,500원 209,500원 신청대상 소득 기준 국민기초생활 보장법에 따른 생계급여나 의료급여 수급자 중 아래에 해당하는 세대원 더보기 세대원 기준 임산부, 노인, 영유아, 장애인, 중증질환자, 희귀질환자, 중증난치질환자, 한부모가족, 소년소녀.. 2022. 1.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