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469

나라 지원으로 3천만원까지 받는다. 최대 39세까지 (+신청방법) 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 신청 및 접수가 개시되었습니다. 지급 내용 청년 근로자가 매월 12만원씩 5년간 납입할 경우 만기시 총 3,000만원을 지급받는다 - 청년 5년간 720만원 적립 - 기업 5년간 1,200만원 적립 - 정부 3년간 1,080만원 적립 신청 방법 내일채움공제 홈페이지 온라인 신청 온라인 신청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지역본·지부, 전국 기업은행, 신한은행 영업점 신청 대상자 만 15세 이상 34세 이하의 중소기업에 재직기간 6개월 이상인 근로자 (군필자의 경우 복무기간에 비례하여 연령을 돈동해 적용, 최고연령 만 39세 한정) 세부적인 발표내용은 아래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중소벤처 기업부 2022. 1. 4.
2022년 최저임금 5.05% 상승 최저임금이 작년에 비해 5.05% 올랐습니다. 고용노동부는 2022년 최저임금 금액을 9,160원으로 고시했습니다. 월급으로 환산시 유급 주휴 포함 월 209시간 기준으로 1주 소정근로 40시간 근무시 191만 4,440원으로 향후 업종별 구분없이 전 사업장에 동일한 최저임금으로 적용된다고 밝혔습니다. 정부는 최저임금의 현장 적용을 위해 적극적인 홍보와 안내를 통해 사업장에 대한 교육 및 노무관리 지도를 통해 최저임금 준수율을 높여나갈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어서 "앞으로도 최저임금 수준에 대한 갈등을 넘어서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위기 극복과 포용적 회복 계기가 되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2022. 1. 4.
2년간 월 30만원 지원 "영아수당 신청 시작" 2022년 출생아부터 영아수당을 받게 됩니다. 영아수당 신설 2022년 출생아부터 어린이집이 아닌 가정에서 양육하는 아동에 대해 두 돌 전까지 기존 가정양육수당(0세 20만원, 1세 15만원)을 대신해 영아수당을 지급하게 되었습니다. 대상 및 지급액 2022년 1월 1일 이후 출생아가 만 두 살(24개월)이 될때까지 월 30만원 지원 (추후 2025년까지 월 50만원으로 확대될 예정임) 영아수당 신청 사이트 지급 방법 계좌에 현금 입금 아래 중 하나 선택 - 가정양육시 현금 수령 - 어린이집 이용 시, 월 50만원 보육료바우처 수급 - 아이돌봄서비스 이용시, 종일제 아이돌봄 정부지원금 수급 신청 시기 2022년 1월 5일부터 ~ 지급 시기 2022년 1월 25일부터 매월 25일에 지급됨 2022. 1. 3.
200만원 받아가세요! "첫 만남 이용권 신청시작" 나라에서 2022년부터 모든 출생아에게 200만원의 바우처를 지급합니다. 첫만남 이용권이란? 2022년 1월1일 이후 출생신고된 영아에게 1인당 2백만원의 바우처를 지급하는 지원사업으로 가정에서 비용과 시간 걱정을 덜어주기 위해 정부에서 신설한 사업입니다. 지급방식 출생 아동 보호자의 국민행복카드에 이용금액 충전 (유흥업소, 사행업종, 레저업종 등 지급목적에서 벗어난 업종을 제외한 전 업종에서 사용가능) 지급대상 출생신고 후 주민등록번호를 부여받은 2022년 출생아동에게 200만원 1회 지원 (아동 출생일로부터 1년간 사용 가능) 신청방법 방문 신청 2022년 1월 3일부터 가능 온라인 신청 복지로 사이트 1월 5일부터 복지로 신청하기 정부24 사이트 1월 7일부터 정부24 사이트 지급시기 2022년 4.. 2022. 1. 3.
1인당 10만원 올해 100% 지급으로 바뀐 문화지원금 (+대상자) 올해부터 모든 저소득층에게 100% 문화누리카드를 지원한다고 합니다. 신청 대상 정부는 지금까지 1인당 10만원씩 저소득층의 75%만 선착순으로 통합문화이용권을 지원했지만 올해부터 통합문화이용권이 저소득층 100%에게 지원되며 시행일은 2월 3일부터 입니다.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한부모가정등등) 이로인해 약 66만명이 지원대상으로 늘어남에 따라 263만명정도가 지원을 받을 것으로 보입니다. 더보기 신청 방법 2월 3일부터 온라인 발급을 통해 신청가능합니다. 신청 홈페이지 온라인 신청이 어려우신 분들은 본인이 거주하는 주소지의 주민센터를 방문하여 신청가능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문화누리카드 이용 문화예술, 여행, 체육 분야에 사용가능하며, 아래와 같이 지역별로 검색하여 다양한 곳에 사용할 수 있.. 2022. 1.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