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170
혹시 의원에도 종류가 있다는 것을 알고 계시나요?
보통 동네에는 의원들이 많은데 간판에 따라 의원의 종류가 다릅니다.
의원은 일반의와 전문의로 나눠지게 되는데 두 가지 과정을 살펴보겠습니다.
일반의 과정
의대 졸업 - 의사 국가고시 합격 - 의사 면허 취득 - 일반의
전문의 과정
일반의 과정에서 추가로 1년간 인턴 - 전공과 선택 - 3~4년간 레지던트 - 전문의 시험 합격 - 전문의
이렇게 일반의가 차린 의원과 전문의가 차린 의원을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은 바로 의원 이름입니다.
예를 들어 빠른 의원 이라고 이름을 지을 경우
일반의 : 빠른 의원 피부과
전문의 : 피부과 빠른 의원
이렇게 일반의는 의원 뒤에 진료 과목을 넣어야 하고 전문의 경우 의원 앞에 진료과목을 넣어서 간판을 세울 수 있게 됩니다.
그래서 객관적으로 생각해봤을 때 전문의가 일반의에 비해 지식과 경험이 더 많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의 또한 오랜경험과 진료이력이 있을 경우 못하는 것은 아닐 수 있기 때문에 진료시 참고하시면 좋을 듯 합니다.
그리드형(광고전용)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앞으로 이렇게 다니면 벌금 50만원까지 문다" (+반려견 외출 규정) (0) | 2022.02.08 |
---|---|
"물벼락, 모르면 과태료 내야 됩니다" 보상은 어떻게? (0) | 2022.02.06 |
누렇게 변해버린 흰 옷 → 새 옷으로 만들기 (+세탁기 NO) (0) | 2022.02.06 |
벌금 폭탄, "이제 여기 5군데는 무조건 멈춰야 합니다" (+2022년 개정) (0) | 2022.02.06 |
"재난지원금 추가 확정된 지역들" (+1인당 최대 30만원) (0) | 2022.02.05 |
댓글